EDCF 안내
사업(입찰)정보
정보공개
고객마당
컨설턴트로 등록하신 분에 한해서 해외원조시장입찰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5년 10월 이전에 등록 , 신청, 임시저장을 한 경우에는 본인인증 후 서비스이용이 가능합니다. (최초 1회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이후부터는 확인하지 않습니다.)
본인 확인을 위하여 원하시는 인증방법을 선택하신 후 진행해주세요.
귀하의 주민등록번호는 도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NICE신용평가정보(주)와 공공아이핀센터에서 제공하는 실명확인서비스를 통해 실명확인 용도로만 사용되며 한국수출입은행은 동 정보를 수집·저장하지 않습니다.
소지하고 계신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전송 받아 인증받는 방법입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가입 당시의 등록정보로컨설턴트아이디의 일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입력하신 정보와 일치하는 아이디가 없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 후 다시 입력해주세요.
본인인증방법으로컨설턴트아이디의 일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5년 10월 이전에 등록한 경우 본인인증방법으로 확인이 안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관리되어분실 시 찾아드릴 수 없는 정보입니다.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를 통해 임시비밀번호를 발송해 드립니다.
본인인증방법으로임시비밀번호를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2015년 10월 이전에 등록한 컨설턴트는 본인인증방법으로 확인이 안됩니다.
입력하신 정보로 아래의 아이디를 찾았습니다.
아이디 전체정보를 확인하시려면 아래 등록정보를 통해 확인하세요.
임시비밀번호가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본인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아래 등록되어 있는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 중에서임시비밀번호를 받을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고객님께서는 최근 1년간 로그인 기록이 없어 휴면 계정으로 전환되었습니다.본인인증 완료 후 서비스이용이 가능합니다.(최초 1회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이후부터는 확인하지 않습니다.)
귀하의 주민등록번호는 도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NICE신용평가정보(주)와 공공아이핀센터에서 제공하는 실명확인 서비스를 통해 실명확인 용도로만 사용되며 한국수출입은행은 동 정보를 수집·저장하지 않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으셨나요? 지금 보고 계신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은 분께 추천해 보세요. 아래사항을 기입하신 후 이메일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 내용을 원하시는 분에게 메일로 보낼 수 있습니다.
담당부서 홍보실
등록일 2020.02.18
조회수 5253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은행장 방문규, 이하 ‘수은’)과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이사장 추무진, 이하 ’KOFIH’)이 개도국에 대한 보건의료분야 원조사업의 효과적 지원을 위해 손을 잡았다.
□ 방문규 수은 행장과 추무진 KOFIH 이사장은 18일 수은 여의도 본점에서 국제개발협력 보건의료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두 기관이 맺은 업무협약은 △국제개발협력 보건분야 사업발굴·시행, 사후관리 全과정에 걸친 상호 연계 추진 △효과적인 유·무상 연계모델 개발 △정례 협의 및 정보 교환 등이 주요 내용이다.
□ 수은이 집행하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은 병원건립과 의료기자재 공급, 보건·의료시스템 도입 등 인프라 사업에 대한 금융협력에, KOFIH는 사업발굴지원, 운영관리(O&M) 및 역량강화 등 기술협력에 각각 장점이 있다.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 개발도상국의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지원하고 우리나라와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1987년 설립한 정부기금. 주로 경제 및 사회 인프라 건설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빈곤 감축 및 경제성장에 기여.
□ 양 기관은 지금까지 7개국 13개 사업에서 협력한 바 있다. 이날 업무협약 체결로 개도국 보건의료분야 원조를 실시할 때 초기부터 두 기관이 공동으로 사업발굴에 참여한 후 EDCF로 인프라를 지원하고, KOFIH가 사후 운용관리를 지원하는 등 협력 방식을 보다 체계화할 방침이다.
- ‘유무상 원조 패키지 지원’으로 對개도국 원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 협력 모델 사례가 만들어진 것이다.
□ 방 행장은 이날 서명식 자리에서 “이번 업무협약체결은 국제개발협력 무대에서 우리나라 선진 보건의료시스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원조 효과성을 높여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 달성과 개도국 인프라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문
의
경협총괄부 전략기획팀장 김용태 (☎02-3779-6591)
홍보실공보팀장 도병훈(☎02-3779-6065)